03-1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불 연산자 : 비교 연산자

불 자료형은 비교 연산자를 이용해서 만듭니다.

print(101 == 100) # False
print(101 != 100) # True

이렇게 비교 연산자를 이용해서 불 자료형을 만들 수 있는데요.

 ==        같음                  x == y   (True, 만약 x와 y가 같으면) 
 !=        같지 않음           x != y   (True, 만약 x와 y가 다르면) 
 <         작음                    x < y    (True, 만약 x가 y보다 작으면) 
 >         큼                        x > y    (True, 만약 x가 y보다 크면) 
 <=       작거나 같음         x <= y   (True, 만약 x가 y보다 작거나 같으면) 
 >=        크거나 같음        x >= y   (True, 만약 x가 y보다 크거나 같으면) 

 

숫자 이 외에도 문자와 범위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nt("가방" == "책가방") # False
print("책가방" != "책가방") # False

x = 10
print(5 < x < 20) # True

 

불 연산자 : 논리 연산자

파이썬에서 논리 연산자는 불리언 값 (True 또는 False) 간의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주요 논리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and (논리곱): 두 조건이 모두 True일 때만 True를 반환합니다.
True and True   # True
True and False  # False
False and True  # False
False and False # False

 

or (논리합): 두 조건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
True or True    # True
True or False   # True
False or True   # True
False or False  # False

 

not (논리부정): 주어진 조건의 반대를 반환합니다.
not True  # False
not False # True

 

논리 연산자는 조건문, 반복문 및 다양한 프로그래밍 상황에서 조건을 평가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논리 연산자를 조합하여 복잡한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if 조건문

조건문에 따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도록 할 때 사용됩니다.

 

if 조건:
    # 조건이 참(True)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
    # 이 코드 블록은 들여쓰기로 표시된다 (보통 4칸 또는 탭)
else:
    # 조건이 거짓(False)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
    # 이 코드 블록도 들여쓰기로 표시된다

 

if 조건1:
    # 조건1이 참일 때 실행
elif 조건2:
    # 조건1이 거짓이고 조건2가 참일 때 실행
else:
    #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
number = int(number)

if number > 0:
    print("양수입니다.")

if number < 0:
    print("음수입니다")

if number == 0:
    print("0입니다")

 

날짜/시간 활용하기

import datetime

now = datetime.datetime.now()

print(now.year, "년")
print(now.month, "월")
print(now.day, "일")
print(now.hour, "시")
print(now.minute, "분")
print(now.second, "초")

format함수를 사용해서 만들어 보겠습니다.

import datetime

now = datetime.datetime.now()

print("{}년 {}월 {}일 {}시 {}분 {}초".format(
    now.year,
    now.month,
    now.day,
    now.hour,
    now.minute,
    now.second
)) # 2024년 1월 15일 8시 9분 2초

 

03-2 if~else와 elif 구문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
number = int(number)

if number % 2 == 0:
    print("짝수입니다.")
else:
    print("홀수입니다.")

 

import datetime

now = datetime.datetime.now()

if 3<= now.month <=5:
    print("지금은 봄입니다.")
elif 6<= now.month <= 8:
    print("지금은 여름입니다.")
elif 9<= now.month <= 11:
    print("지금은 가을입니다.")
else:
    print("지금은 겨울입니다.")

 

사용자에게 태어난 연도를 입력받아 띠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str_input = input("당신이 태어난 해를 입력해 주세요> ")
birth_year = int(str_input)

if birth_year % 12 == 0:
    print("당신은 원숭이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1:
    print("당신은 닭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2:
    print("당신은 개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3:
    print("당신은 돼지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4:
    print("당신은 쥐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5:
    print("당신은 소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6:
    print("당신은 범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7:
    print("당신은 토끼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8:
    print("당신은 용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9:
    print("당신은 뱀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2 == 10:
    print("당신은 말 띠입니다")
else:
    print("당신은 양 띠입니다")

'혼공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파 5주 예외처리 6장  (0) 2024.02.04
혼공파 4주차 5장 함수  (2) 2024.01.28
혼공파 3주차 Ch04 반복문  (1) 2024.01.21
혼공파 ch2 자료형  (0) 2024.01.14
혼공파 1주 파이썬 시작하기 자료형  (1) 2024.01.05

2주 커리큘럼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개정판)
진도: Chapter 02(02-3) ~ 03
기본 미션: p. 187 3번 문제 풀고 본인이 태어난 해와 띠를 출력하는 결과값 화면 인증하기
선택 미션: else 구문과 elif 구문 정리한 내용 포스팅하기

02-3 변수와 입력

변수는 변할 수 있는 자료

pi = 3.14159265
r = 10
pi
print("원주율 =", pi) # 원주율 = 3.14159265   
print("반지름 =", r) # 반지름 = 10
print("원의 둘레 =", 2*pi*r) # 원의 둘레 = 62.831853 
print("원의 넓이 =", r*r*pi) # 원의 넓이 = 314.159265

 

파이썬에서는 자바, C언어와는 다르게 변수를 선언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같은 변수에 여러 종류의 자료형을 넣을 수 있습니다.

a = "문자열"
print(a)

a = True
print(a)

a = 10
print(a)

이렇게 사용해도 에러가 나지 않지만 되도록 하나의 자료형을 넣어서 사용하기를 권장하네요.

 

input() 사용법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print(number)

그런데 문자를 입력했는데 에러가 나질 않습니다.

input() 함수는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해도 무조건 문자열 자료형으로 받기 때문입니다.

 

그럼 숫자로 입력해서 더하기를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시켜 주는 int(), float()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a = input("입력A")
b = input("입력B")
print(int(a) + int(b))

a = input("입력A")
b = input("입력B")
print(a + b)

 

* ValueError 예외

변환할 수 없는 것을 변환하려고 하면 ValueError 발생

 

02-4 숫자와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

format() 함수로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한다.

upper()

a = "Hello Python"
a.upper() # HELLO PYTHON

lower()

b = "Hello Python"
b.lower() # hello python

 

문자열 양옆의 공백 제거하기 : strip()

양쪽 공백 strip()

왼쪽의 공백 lstrip()

오른쪽의 공백 rstrip()

a = """
       Hello 
    Python    
        """
print(a.strip())

문자열 찾기 : fine(), rfine()

text = "땡큐땡큐 베리 머치".find("땡큐")
print(text) # 0

text = "땡큐 땡큐 베리 머치".rfind("땡큐")
print(text) # 3

문자열과 in 연산자

print("안녕" in "안녕하세요") # True
print("잘가" in "안녕하세요") # False

문자열 자르기 : split()

num = "10 20 30 40 50 60".split(" ")
print(num) # ['10', '20', '30', '40', '50', '60']

'혼공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파 5주 예외처리 6장  (0) 2024.02.04
혼공파 4주차 5장 함수  (2) 2024.01.28
혼공파 3주차 Ch04 반복문  (1) 2024.01.21
혼공파 ch3 조건문  (1) 2024.01.15
혼공파 1주 파이썬 시작하기 자료형  (1) 2024.01.05

 

파이썬을 설치할 때 Add Python ** 체크하는 이유

 

파이썬을 공부할 때 필요한 것은 뭐가 있을까요?
1. 파이썬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에디터
2. 파이썬 코드를 실행하는 파이썬 인터프리터
파이썬 프롬프트라 불리는 >>> 에 코드를 입력하면 바로 실행결과를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을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로 인터렉티브 셸
또는 한 마디씩 대화를 주고 받기 때문에 대화형 셸이라 부른다고 하네요.
키워드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 파이썬이 미리 예약한 단어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식별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변수, 함수, 클래스로 사용된다.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되고, 특수 문자는 _만 사용, 숫자를 가장 앞에 넣어서 사용할 수 없다. 공백 X

프로그램은 자료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사진이 자료이고, 이를 카메라에 저장하는 것이 처리입니다.
카카오톡으로 친구에게 사진과 함께 "여기 어때?"라는 메시지를 보냈다면 사진과 메시지가 자료이고, 이를 친구에게 전송하는 것이 처리입니다.

자료의 형식을 확인할 때 type() 함수 사용
이스케이프문자는 역슬래시(\) 기호와 함께 조합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문자를 의미한다.
\n : 줄바꿈을 의미합니다. 
\r : 탭을 의미합니다.

문자열 연산자
문자열 연결 연산자 : +
문자열은 무조건 문자열끼리 + 기호를 사용해서 연결해야 한다.
숫자라 하더라도 문자열과 함께 + 연산하려면 ""로 붙여 주어야 한다.
문자열 반복 연산자 : *
문자열 * 숫자
숫자만큼 문자열을 반복해서 출력한다.
문자 선택 연산자(인덱싱) : []
문자 선택 연산자는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이다.
[]안에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 숫자를 인덱스라고 부른다.
파이썬은 제로 인덱스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슬라이싱) [:]
문자열의 범위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기호를 이용해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를 참조하는 것을 인덱싱이라 하고, [:]기호를 이용해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슬라이싱이라 합니다;.


기본 미션: p. 101 3~5번 실행 결과 쓰고 인증하기
3번 문제
print("# 연습문제")
print("\\\\\\\\")
print("-" *😎


4번 문제
print("안녕하세요"[1])
print("안녕하세요"[2])
print("안녕하세요"[3])
print("안녕하세요"[4])
print("안녕하세요"[5])


5번 문제
print("안녕하세요"[1:3])
print("안녕하세요"[2:4])
print("안녕하세요"[1:])
print("안녕하세요"[:3])




#혼공학습단 #혼공 #혼공파

'혼공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파 5주 예외처리 6장  (0) 2024.02.04
혼공파 4주차 5장 함수  (2) 2024.01.28
혼공파 3주차 Ch04 반복문  (1) 2024.01.21
혼공파 ch3 조건문  (1) 2024.01.15
혼공파 ch2 자료형  (0) 2024.01.14

+ Recent posts